CS 상식 - 네트워크

[CS 상식 - 네트워크] NAT/NAPT

beginner-in-coding 2025. 1. 10. 11:48

01.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1. 기업 등에 할당된 글로벌 IP 주소와 각 장치에 설정된 프라이빗 IP 주소의 일대일 대응 전환표 작성
  2. 특정 프라이빗 IP 주소에서 인터넷으로 액세스 요청 들어오면
  3. 변환표를 사용하여 글로벌 IP 주소를 해당 통신에 할당
  4. 인터넷에서 할당받은 글로벌 IP 주소로 응답이 있으면
  5. 프라이빗 IP 주소의 장치로 주소를 변환해서 통신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02. NAPT(Network Address Port Translation)

  • NAT에서는 사용할 수 있는 글로벌 IP 주소가 적으면 여러 장치에서 액세스 하기 어려움
  • 글로벌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 NART
  • NART: IP 주소 변환표 + TCP/UDP(4 계층)의 출발지 포트 번호 사용
    • 동일한 글로벌 IP 주소라도 프라이빗 IP 주소마다 다른 포트 번호를 할당하면
    • 어떤 컴퓨터에서 보낸 요청인지
    • 어떤 컴퓨터에 대한 응답인지 알 수 있음

NAPT(Network Address Port Trans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