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클래스 방식 (Classful Networking)과 IP CIDR 방식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 클래스 방식
- IP 주소 상위 1비트부터 5비트까지 패턴에 따라 주소 영열을 클래스 A~E로 나눔
- 각 클래스는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는 고정된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
- 클래스 A
- 범위: 0.0.0.0 ~ 127.255.255.255 (첫 번째 비트가 0)
- 서브넷 마스크: 255.0.0.0 (/8)
- 사용 사례: 대규모 네트워크 (대기업, ISP)
- 클래스 B
- 범위: 128.0.0.0 ~ 191.255.255.255 (첫 두 비트가 10)
- 서브넷 마스크: 255.255.0.0 (/16)
- 사용 사례: 중규모 네트워크 (대학, 중견기업)
- 클래스 C
- 범위: 192.0.0.0 ~ 223.255.255.255 (첫 세 비트가 110)
-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24)
- 사용 사례: 소규모 네트워크 (소기업, 개인 네트워크)
- 클래스 D (멀티캐스트)
- 범위: 224.0.0.0 ~ 239.255.255.255
- 목적: 특정 그룹(멀티캐스트 그룹)으로 데이터 전송.
- 호스트 개념 없음.
- 클래스 E (예약됨)
- 범위: 240.0.0.0 ~ 255.255.255.255
- 목적: 연구 및 실험용으로 예약.
- 호스트 개념 없음.
- 클래스 A
- 클래스 방식의 문제점
- 고정된 서브넷 마스크
- IP 주소 부
- CIDR
- 클래스 방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방식
- 네트워크 크기를 고정된 클래스에 제한하지 않고, 서브넷 마스크를 유연하게 정의
- 프리픽스(prefix): 고정된 서브넷 마스크 대신 사용하여 네트워크와 호스트 구별
- 네트워크 주소(Network Adress):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부분
- 호스트 주소(Host Address): 네트워크 내 개별 장치를 식별하는 부분
02. 서브넷 마스크 (Subnet Mask)
- IP 주소를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구분하는데 사용
- 네트워크 주소: 서브넷 내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부분.
- 호스트 주소: 서브넷 내에서 각 기기를 식별하는 부분.
- 10진수로 표시
- IP 주소와 서브넷마스크는 비트 단위로 AND 연산을 통해 네트워크 주소를 계산
프리픽스 | 서브넷마스크 | |
/8 | 255.0.0.0 | 16,777,214 |
/16 | 255.255.0.0 | 65,534 |
/24 | 255.255.255.0 | 254 |
/30 | 255.255.255.252 | 2 |
- 계산 방법
- 네트워크 크기를 결정할 호스트 수를 파악.
- 2^N ≥ 호스트 수 + 2의 N을 계산 (+2는 네트워크와 브로드캐스트 주소 포함).
- N에 따라 서브넷마스크와 프리픽스를 설정.
03. 서브넷 목적
- 네트워크 트래픽 분산
- 네트워크를 작은 단위로 나눔으로써 트래픽 병목현상을 줄이고 성능을 향상
- 보안 강화
- 네트워크를 구분해서 서로 다른 서브넷 간 접근을 제어할 수 있음
- IP 주소 공간의 효율적 사용
- 필요에 따라 네트워크를 나누어 IP 주소를 낭비하지 않고 활용할 수 있음
- 관리 용이성
- 네트워크를 작은 단위로 분할하면 관리가 더 쉬움
'CS 상식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 상식 - 네트워크] VLAN과 SDN (0) | 2025.01.17 |
---|---|
[CS 상식 - 네트워크] CSMA/CD와 CSMA/CA (0) | 2025.01.16 |
[CS 상식 - 네트워크] 기본 게이트웨이 (Default Gateway) (0) | 2025.01.15 |
[CS 상식 - 네트워크] 네트워크 계층 복습 (0) | 2025.01.13 |
[CS 상식 - 네트워크] 라우팅 (Routing) (1) | 2025.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