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기초

[JAVA 기초] JAVA의 정석 - Ch.03 연산자(Operator) (정리)

beginner-in-coding 2025. 1. 15. 14:21

Ch.03 연산자(Operator)


-      연산자(Operator)

  • 연산자와 피연산자
    • 연산자 (operator):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
    • 피연산자 (operand): 연산자의 작업 대상(변수, 상수, 리터럴, 수식)
  • 식과 대입 연산자
    • 식 (expression): 연산자와 피연산자의 조합하여 계산
    • 대입 연산자(=)를 이용해서 식에서 계산된 값을 변수에 저장함 
  • 연산자의 종류
    • 산술 연산자: 사칙 연산과 나머지 연산
    • 비교 연산자: 크고 작음과 다름을 비교
    • 논리 연산자: 그리고와 또는으로 조건을 연결
    • 대입 연산자: 우변의 값을 좌변에 저장
    • 기타: 형변환 연산자, 삼항 연산자, instanceOf 연산자
  • 연산자의 우선순위의 결합 규칙
    1. 단항 연산자 (←)
    2. 산술 연산자 (→)
    3. 비교 연산자 (→)
    4. 논리 연산자 (→)
    5. 삼항 연산자 (→)
    6. 대입 연산자 (←)
  • 산술 변환(usual arithmetic conversion)
    • 피연산자의 타입이 같아야 연산이 가능하므로 타입을 같게 만드는 것
    • 주로 피연산자 중 큰 타입으로 형변환

-      단항 연산자

  • 증감 연산자 - ++, --
    • 증가 연산자 (++): 피연산자의 값을 1 증가
    • 감소 연산자(--): 피연산자의 값을 1 감소
    • 피연산자 앞에 붙으면 호출 전 증가 (전위형), 피연산자 뒤에 붙으면 호출 후 증가 (후위형)
  • 부호 연산자 - +, -
    • 값의 양수/음수를 결정해줌

-      산술 연산자

  • 사칙 연산자 - +, -, *, /
    • 'a'+1을 대입연산자를 통해 char형을 구하는 것은 리터럴 간의 연산임
    • 리터럴이나 상수간의 연산은 컴파일시에 컴파일러가 계산
    • 미리 저장된 변수를 사용할 경우에는 컴파일러가 미리 계산 할 수 없기 때문에 형변환이 필요함
  • 나머지 연산자 - %
    • 왼쪽의 연산자를 오른쪽의 연산자로 나눈 후 남은 나머지를 반환
    • 정수만 허용

-      비교 연산자

  • 대소비교 연산자 - <, >, <=, >=
    • 좌변과 우변의 값을 비교하여 true와 false를 반환
  • 등가비교 연산자 - ==, !=
    • 좌변과 우변의 값의 같음을 비교해서 true와 false를 반환

-      논리 연산자

  • 논리 연산자 - &&, ||, !
    • && (and): 둘 다 true여야 true를 반환
    • || (or): 하나라도 true면 true를 반환
    • ! : 논리 부정 연산자, 논리를 반대로 변환시킴
  • 비트 연산자 - &, |, ^, ~, <<, >>
    • & (AND): 피연산자 양쪽이 1이여야 1
    • | (OR): 피연산자 한 쪽이라도 1이면 1
    • ^ (XOR): 피연산자의 값이 서로 다를 때 1

-      그 외 연산자

  • 조건 연산자 - ? :
    • 조건식 ? 식1 : 식2;
      • 식1: true인 경우 반환
      • 식2: false인 경우 반환
  • 대입 연산자 - =, op=
    • 오른쪽 피연산자 값을 왼쪽 피연산자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