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JOIN (조인)
- 여러 테이블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동시 출력 / 참조할 경우 사용
- FROM절에 조인할 테이블 나열
- 테이블의 순서
- ORACLE 표준: 테이블 나열 순서 중요 X
- ANSI 표준: OUTER JOIN 시 순서 중요 O
- ORACLE 표준: WHERE 절에서 조인 조건을 작성
- 동일한 열 이름이 여러 개 존재할 경우 → 열 이름 옆에 테이블 이름 | 테이블 Alias를 붙임
- N개의 테이블을 조인할 경우: 최소 N-1개의 조인 조건이 필요
02. 조인 종류
- 조건의 형태에 따라
- EQUI JOIN (등가 JOIN): JOIN 조건이 동등 조건인 경우
- NON EQUI JOIN: JOIN 조건이 동등 조건이 아닌 경우
- 조인 결과에 따라
- INNER JOIN: JOIN 조건에 성립하는 데이터만 출력하는 경우
- OUTER JOIN: JOIN 조건에 성립하지 않는 모든 데이터도 출력하는 경우
- [ LEFT | RIGHT | FULL OUTER JOIN ] 으로 나뉨
- NATURAL JOIN: 조인 조건 생략 시 두 테이블에 같은 이름으로 자연 연결되는 조인
- CROSS JOIN: 조인 조건 생략 시 두 테이블의 발생 가능한 모든 행을 출력하는 조인
- SELF JOIN: 하나의 테이블을 두 번 이상 참조하여 연결하는 조인
03. 조건의 형태에 따라 (1) - EQUI JOIN (등가 JOIN)
- 조인 조건이 "="(equal)을 통해 같은 값을 가지는 행을 연결하여 결과를 얻는 조인 방법
- SQL 명령문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JOIN
- FROM절에 조인하고자 하는 테이블을 모두 명시
- FROM절에 명시하는 테이블은 테이블 명칭 (Alias) 사용 가능
- WHERE 절에 두 테이블의 공통 컬럼에 대한 조인 조건을 나열
- 문법
SELECT 테이블1.컬럼, 테이블2.컬럼
FROM 테이블1, 테이블2
WHERE 테이블1.컬럼 = 테이블2.컬럼; --EQUI JOIN (등가 조인)
04. 조건의 형태에 따라 (2) - NON-EQUI JOIN
- '='이 아닌 조건을 사용하는 경우
- 문법
SELECT 테이블1.컬럼, 테이블2.컬럼
FROM 테이블1, 테이블2
WHERE 테이블1.컬럼 비교조건 테이블2.컬럼; --NON-EQUI JOIN
05. 세 테이블 이상의 조인
- 관계 파악하여 모든 테이블이 연결되도록 조인 조건 명시
- N개 테이블의 경우 최소 N-1개의 조인 조건 필요
SELECT E1.컬럼, E2.컬럼, E3.컬럼
FROM 테이블1 E1, 테이블2 E2, 테이블3 E3
WHERE E1.컬럼 = E2.컬럼
AND E2.컬럼 = E3.컬럼; --세 테이블 이상 조인
06. SELF JOIN
- 한 테이블 내 각 행끼리 관계를 갖는 경우 사용
- 한 테이블을 참조할 때마다 명시해야 함 (필요할때마다)
- 태이블명이 중복되므로 반드시 테이블 별칭 사용
SELECT E1.컬럼1, E2.컬럼2
FROM 테이블1 E1, 테이블1 E2
WHERE E1.컬럼1 = E2.컬럼2; --SELF JOIN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 서브쿼리 (0) | 2025.02.17 |
---|---|
[SQL] JOIN (2) (0) | 2025.02.17 |
[SQL] ORDER BY 절 (0) | 2025.02.14 |
[SQL] GROUP BY 절, HAVING 절 (0) | 2025.02.14 |
[SQL] WHERE 절 (0)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