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 LAN 내에서 패킷을 교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
- MAC 주소는 2 계층 이하이므로, Application의 IP를 알고 있어도 MAC의 주소를 모름
- 따라서 IP 주소 정보를 네트워크로 보내기 위해 호스트가 MAC 주소를 알려줌
08. ARP 작동 방식
- 브로드캐스트: LAN의 모든 장치에 대상을 지정하지 않고 패킷을 전송
- 모든 장치가 수신하므로 IP 주소에 대한 패킷을 수신하면 자신의 MAC주소를 회신함
- 허브나 라우터에 조회
- 허브나 라우터에 LAN 내의 모든 기기의 IP 주소와 MAC 주소를 테이블로 만들어 관리
- 허브나 라우터에게 구하고자하는 MAC 주소의 IP 주소를 송신하면 대응하는 MAC주소를 반환해 줌
09. 포트(port) 번호
- 포트 번호: TCP/UDP 프로토콜에서 추가되는 식별자 역할
- 목적지 포트 && 출발지 포트
- IP 주소는 목적지 서버를 지정할 수 있지만, 해당 서버의 어떤 App을 사용할지 알 수 없음
- 목적지 포트
- 패킷이 어떤 Application을 위한 것인지 나타내는 번호로 지정
- 서버에서는 수신한 패킷이 어떤 요청인지 목적지 포트를 보고 판단
- 출발지 포트
- 보낸 쪽의 사용자와 터미널을 식별하는 번호를 지정
- 출발지에서 액세스 한 기기 등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
10. 주요 Application의 번호 - 잘 알려진 포트
- 인터넷에서의 주요 Application의 포트 번호: 0 ~ 1023(2^10-1)
-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라고 지칭
- 이메일, HTTP, DNS 등 인터넷 핵심 서비스에 할당된 특정 포트 번호
- 1024 ~ 49151: 등록된 포트 번호(보조적으로 사용)
- 잘 알려진 포트 번호 이외의 주요 공급 업체 제품 및 앱에 할당된 포트
- 49152 ~ 65535: 다이내믹/프라이빗 포트번호(개인이나 기업이 자체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용으로 자유롭게 사용 가능)
*잘 알려진 포트 번호*
포트 번호 | 프로토콜 및 서비스 | 개요 |
TCP/20 | FTP(데이터) |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파일 전송 |
TCP/21 | FTP(프로토콜) | FTP로 파일을 송수신할 때 서버에 로그인 처리 등 |
TCP/22 | SSH | 암호화 통신으로 보호된 원격 로그인 |
TCP/25 | SMTP | 메일 서버에 이메일 전송 |
TCP/53 | DNS | DNS 서버에 IP 주소 문의 |
TCP/80 | HTTP |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사이에서 통신 |
TCP/443 | HTTPS | 암호화 통신으로 세션이 보호된 HTTP 통신 |
'CS 상식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 상식 -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1) | 2025.01.10 |
---|---|
[CS 상식] 회선 교환 방식, 패킷 교환 방식 (0) | 2025.01.09 |
[CS 상식 - 네트워크] 라우터 (Router) (1) | 2025.01.09 |
[CS 상식 - 네트워크] 네트워크 계층 (1) (0) | 2025.01.07 |
[CS 상식 - 네트워크] 네트워크 기본 개념 (3) | 2025.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