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상식 - 네트워크

[CS 상식] 회선 교환 방식, 패킷 교환 방식

beginner-in-coding 2025. 1. 9. 15:33

01. 회선 교환 방식

  • 기존 전화 시스템으로 대표되는 통신 방식
  • 통신 상대와 1:1 연결을 설정해 통신하는 방식을 의미
  • 연결이 설정되면 해당 회선은 연결된 양 쪽이 독점함
  • 교환기 구성이 복잡
  • 유지보수 및 관리에 어려움
  • 통신량이 방대해지면 하나의 통신에 하나의 회선을 전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음

02. 패킷 교환 방식

  • 패킷: 주고받는 데이터 단위 의미
    • 원래의 크기 그대로가 아니라 일정한 크기로 분할해서 전송
  • 패킷 교환 방식: 패킷을 분할하여 송수신하는 통신 방식
  • 패킷의 크기: 프로토콜에 따라 결정
  • 회선만 연결되어 있으면 독립적으로 전송가능
    • 대량의 데이터를 전송 가능
    • 다수의 상대방과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
    • 서로 다른 종류의 패킷(프로토콜)도 섞여있을 수 있음
    • 연결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루트로 송수신 가능

03. 패킷 교환 방식에 필요한 정보

  • 회선 내에 많은 패킷이 존재하므로, 관리 정보가 필요
  • 관리 정보
    • 출발지/목적지 주소 정보
    • 목적지에서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정보
    • 헤더에 집약되어 통신 데이터 본체(페이로드)와는 별도로 부여

04. 패킷 교환 방식 단점

  1. 회선 혼잡이나 액세스의 집중 발생
  2. 패킷이 보낸 순서대로 도착한다는 보장이 없음
  3. 패킷이 오류로 사라질 수 있음
  4. 헤더 등 부가 정보의 처리나 크기가 필요
  5. 실시간 전송을 할 수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