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허브
- 허브: 네트워크의 허브는 각 장치의 회선을 정리하고 네트워크를 올바르게 연결하는 장치
- 허브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모든 장치를 연결해서 통신하는 것
- 허브의 뒷면: LAN 케이블 연결 포트가 여러 개 나열
- 포트 수만큼 선을 모을 수 있음(4, 8, 16..)
- 케스케이드 연결: 연결한 장치가 더 많아지면 포트 중 하나를 다른 허브에 연결해서 연결 대수를 늘림
02. 스위칭 허브
- 리피터 기능 보유: 내부에서 신호 및 전파 성형 등
- 전자 회로나 CPU를 장착해서 소프트웨어로 이더넷 프레임을 해석, 연결 전환을 수행
- 스위칭 허브에는 연결 대상을 전환할 때 내부 전자 회로만으로 전환하는 CPU를 탑재해서 내부 프로그램으로 전환
03. 스위치 (스위칭 허브)
- 회선(LAN)을 모으는 기능 + 연결 대상을 전환하는 기능 + 세그먼트 분할 기능
- 2 계층에서 연결되는 장치
- 이더넷 프레임이 처리
- 세그먼트 분할 기능
- VLAN: CPU를 탑재하고 있어서 임의의 포트를 지정해서 세그먼트를 나눌 수 있음
- 하드웨어적으로 세그먼트별 포트 수는 고정이지만 VLAN을 이용하면 임의의 포트 수를 가진 세그먼트를 스위치 한 대로 설정
- L2 스위치: 2 계층에서 연결하는 장치
- L3 스위치: IP주소에 의한 라우팅 기능을 가진 3 계층에서 연결하는 스위치
- LAN끼리 연결 가능
- 라우터와 기능이 동일
- L3와 L2의 차이점
- L3 스위치가 L2 스위치의 기능을 가지면서 하드웨어로 처리함 → 고속
- l3 스위치가 포트 수가 많은 제품이 존재
'CS 상식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 상식 - 네트워크] 커넥터 (1) | 2025.01.10 |
---|---|
[CS 상식 - 네트워크] 케이블 (1) | 2025.01.10 |
[CS 상식 -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1) | 2025.01.10 |
[CS 상식] 회선 교환 방식, 패킷 교환 방식 (0) | 2025.01.09 |
[CS 상식 - 네트워크] 라우터 (Router) (1) | 2025.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