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0 7

[CS 상식 - 네트워크] 라우팅 (Routing)

01. 라우팅(Routing)라우터의 기본 기능: 패킷을 참조해서 자신이 관리하는 LAN으로 들어오는 패킷과 아닌 패킷을 다른 라우터로 전달하는 기능어떤 라우터를 경유해서 패킷이 목적지까지 도달하는지 같은 경로(루트) 제어도 존재경유하는 라우터 수를 최소화하거나 고장 난 라우터를 우회 가능회선 속도나 요금을 판단해서 최단 경로나 최저 요금 경로를 제어 가능메트릭: 경로 정보메트릭 및 라우터 정보: 라우팅 테이블이라는 표로 관리02.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라우팅 프로토콜: 라우터 간 경로를 제어하고자 정보를 교환하는 프로토콜IGP(Interior Gateway Protocol)동일한 관리 정책의 라우터(Autonomous System, AS)끼리 경로를 제어하는 프로토콜AS라는 식별자로 구별AS 번호일반적..

[CS 상식 - 네트워크] NAT/NAPT

01.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기업 등에 할당된 글로벌 IP 주소와 각 장치에 설정된 프라이빗 IP 주소의 일대일 대응 전환표 작성특정 프라이빗 IP 주소에서 인터넷으로 액세스 요청 들어오면변환표를 사용하여 글로벌 IP 주소를 해당 통신에 할당인터넷에서 할당받은 글로벌 IP 주소로 응답이 있으면프라이빗 IP 주소의 장치로 주소를 변환해서 통신02. NAPT(Network Address Port Translation)NAT에서는 사용할 수 있는 글로벌 IP 주소가 적으면 여러 장치에서 액세스 하기 어려움글로벌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 NARTNART: IP 주소 변환표 + TCP/UDP(4 계층)의 출발지 포트 번호 사용동일한 글로벌 IP 주소라..

[CS 상식 - 네트워크] DHCP

01. DHCPLAN 내 장치에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프로토콜IP 주소 설정을 수동으로 설정하면 효율적이지 않음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를 이용해서 자동으로 할당받음DHCP: 방식과 절차를 규정한 클라이언트 서버형 프로토콜클라이언트는 할당받은 정보로 자신의 설정 정보를 업데이트02. IP 주소 자동 할당 절차DHCP 서버가 IP 주소를 할당하는 절차DHCP Discover: 클라이언트가 브로드캐스트로 DHCP 서버를 찾는 메시지를 보냄DHCP Offer: DHCP 서버는 메세지를 받으면 자신이 할당할 수 있다고 회신DHCP Request: 클라이언트는 응답한 DHCP 서버에 IP 주소를 요청DHCP Ack: DHCP 서버가 필요한 정보를 발행

[CS 상식 - 네트워크] 커넥터

01. 커넥터무선을 사용하지 않고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장치와 장치 간의 물리적인 연결을 담장케이블의 연결 부분인 커넥터의 규격이나 형태가 중요02. 광섬유 커넥터, USB 커넥터광섬유 커넥터SC, 듀얼 SC, 듀얼 IC, FC, ...광 신호를 주고받는 커넥터일반 장비에 연결할 수 없음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미디어 변환)을 해야 함SFP 트랜시버: 변환할 때 사용USB 커넥터스마트폰 충전, 장치끼리 통신할 수 있는 규격Type-A, Type-C 등규격과 커넥터 종류는 연동되지 않음규격에 따라 전송 속도와 용량이 달라짐커넥터 종류설명USB Type-A컴퓨터나 USB 허브 등에 사용USB Type-B프린터나 USB 마이크 등에 사용USB Type-C고속, 대용량을 지원mini USB Type-..

[CS 상식 - 네트워크] 케이블

01. 케이블네트워크에서의 케이블: 이더넷 용 LAN 케이블광섬유 케이블: 고속 전송을 하는 스위치나 10 Gbps 이상의 네트워크 장비에서 사용\광섬유 코어의 전송 경로 수에 따라 싱글 모드, 멀티 모드 존재각 규격에 따라 코어 지름, 파장, 대역촉이 달라짐이더넷의 연결 형태에 따라 규격이 다름버스형 이더넷: 동축 케이블 이용스타형 이더넷: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이용02. 직렬 케이블, 병렬 케이블차이점: 전송 방식직렬 케이블: 데이터를 1비트씩 전송병렬 케이블: 8비트나 16비트 단위로 여러 개의 데이터 동시에 전송

[CS 상식 - 네트워크] 허브 (집선 장치)

01. 허브허브: 네트워크의 허브는 각 장치의 회선을 정리하고 네트워크를 올바르게 연결하는 장치허브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모든 장치를 연결해서 통신하는 것허브의 뒷면: LAN 케이블 연결 포트가 여러 개 나열포트 수만큼 선을 모을 수 있음(4, 8, 16..)케스케이드 연결: 연결한 장치가 더 많아지면 포트 중 하나를 다른 허브에 연결해서 연결 대수를 늘림02. 스위칭 허브리피터 기능 보유: 내부에서 신호 및 전파 성형 등전자 회로나 CPU를 장착해서 소프트웨어로 이더넷 프레임을 해석, 연결 전환을 수행스위칭 허브에는 연결 대상을 전환할 때 내부 전자 회로만으로 전환하는 CPU를 탑재해서 내부 프로그램으로 전환 03. 스위치 (스위칭 허브)회선(LAN)을 모으는 기능 + 연결 대상을 전환하는 기능 + 세..

[CS 상식 -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01.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무선 LAN에서 허브에 해당하는 장치시리브의 무선 LAN 규격(Wi-Fi)으로 각 단말기와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장치Wi-Fi: 케이블을 배선할 필요가 없고 전송 속도도 빠름광대역 라우터: 라우터(3 계층) + 액세스 포인트액세스 포인트, Wi-Fi: 2계층 장치02.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무선 LAN에 연결되는 장치는 내장된 Wi-Fi 모듈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액세스 포인트는 세그먼트 내 통신을 제어인프라스트럭처 모드: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형태03. 애드혹 모드액세스 포인트를 거치지 않고 장치끼리 직접 무선 링크 기능을 사용해서 통신04. 액세스 포인트와 Wi-Fi 차이액세스 포인트: 단말기나 기기를 묶는 장치액세스 포인트만으로는 인터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