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9 5

[머신러닝 & 딥러닝] 전체적인 작업 흐름

00. 전체적인 흐름도01. 전처리 - 데이터의 형태 갖추기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원본 데이터의 모든 특성과 형태가 알고리즘에 완벽히 적합한 경우는 잘 없음원본 데이터의 특성 중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이용해 알고리즘에 이용해야 함데이터 전처리데이터 필터링선택한 특성이 같은 스케일(범위)를 가져야 함 → 따라서 특성의 범위를 변환시키는 과정이 존재표준 정규 분포(standard normal distribution) 이용: 평균이 0이고 단위 분산을 가짐상관 관계가 높아 중복된 정보를 가질 경우 → 차원 축소 기법 이용차원 축소의 장점저장 공간이 줄어듦학습 알고리즘을 빨리 수행 가능모델의 예측 성능을 높일 가능성이 존재 → 신호 대 잡음비(SNR, Signal-to-Noise Ratio)가 낮은 경우데이터..

[CS 상식 - 운영체제] 교착 상태 해결 방법

01. 교착 상태 예방교착 상태 발생 필요 조건 중 하나를 충족하지 못하게 하는 것상호 배제, 점유와 대기, 비선점, 원형 대기 중 하나의 조건이라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예방 할 수 있음각각의 방법상호 배제 → 모든 자원을 공유 가능하게 만드는 것단점: 현실에서 사용하기에 무리점유 대기 → 특정 프로세스에 자원을 모두 할당하거나, 아예 할당하지 않는 방식으로 배분단점: 자원의 활용률이 낮아짐, 많은 자원을 사용하는 프로세스가 불리비선점 → 자원을 이용 중인 프로세스로부터 해당 자원을 빼앗을 수 없음단점: 모든 자원이 선점 가능한 것이 아님, 한 프로세스의 작업이 끝날 때까지 다른 프로세스가 기다려야 하는 자원이 존재 (범용성이 떨어짐)원형 대기 → 모든 자원에 번호를 붙이고, 오름차순으로 자원을 할당단점..

[CS 상식 - 운영체제] 교착 상태

01. 식사하는 철학자 문제 (Dining Philosophers Problem)교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고전적인 상황교착상태의 상황의 발생 원인과 해결 방안을 설명하는 가상의 문제 시나리오상황: 동그란 원탁에 다섯 명의 철학자와 식사, 포크가 존재순서계속 생각을 하다가 왼쪽 포크가 사용이 가능하면 집어듦계속 생각을 하다가 오른쪽 포크가 사용이 가능하면 집어듦왼쪽과 오른쪽 포크를 모두 집어들면 정해진 시간동안 식사를 진행식사 시간이 끝나면 오른쪽 포크를 내려놓음오른쪽 포크를 내려놓은 뒤 왼쪽 포크를 내려놓음다시 1번부터 반복문제 발생: 모든 철학자가 동시에 포크를 집어 식사를 하는 경우어떤 철학자도 식사를 할 수 없고 영원히 기다려야하는 상황 발생모든 철학자는 다른 철학자가 포크를 내려놓을 때까지 기다..

[CS 상식 - 운영체제] 동기화 기법

01. 뮤텍스 락(Mutex lock; MUTual Exclusion lock)동시 접근해서는 안되는 자원에 동시에 접근하지 않도록 만드는 도구상호 배제를 위한 동기화 도구뮤텍스 락을 통해 현재 자신이 임계 구역에 있음을 알릴 수 있음다른 프로세스가 뮤텍스 락을 통해 임계 구역이 잠겨있다면 기다림임계 구역이 잠겨있지 않으면 진입이 가능함구성자물쇠 역할: 프로세스들이 공유하는 전역변수 lock임계 구역을 잠그는 역할: acquire 함수임계 구역의 잠금을 해제하는 역할: release 함수acquire 함수프로세스가 임계 구역에 진입하기 전에 호출하는 함수임계 구역이 열릴(lock이 false가 될 때 까지)때까지 반복적으로 임계 구역을 확인임계 구역이 열려있다면 구역을 잠그는 역할을 함(lock을 tru..

[CS 상식 - 운영체제] 동기화

01. 동기화(synchronization)의 의미필요한 이유: 실행되는 프로세스들은 실행 순서와 자원의 일관성을 보장해야 하기 때문프로세스의 동기화: 프로세스 사이의 수행 시기를 맞추는 것실행 순서 제어: 프로세스를 올바른 순서대로 실행상호 배제: 동시에 접근해서는 안되는 자원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접근하게 하기실행의 흐름을 갖는 모든 것들이 동기화의 대상(스레드 포함)실행 순서 제어를 위한 동기화한 프로세스의 결과값을 가지고 작업을 하는 경우, 선실행되어야 함상호 배제를 위한 동기화(mutual exclusion)공유가 불가능한 자원의 동시 사용을 피하기 위해 사용하는 알고리즘02. 생산자와 소비자 문제생산자: 물건을 계속해서 생성하는 역할소비자: 물건을 계속해서 소비하는 역할생산자와 소비자는 총합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