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25

[회고록] 패스트캠퍼스 백엔드 부트캠프 3기 + 소개

[회고록] 패스트캠퍼스 백엔드 캠프 3기2024-12-16 ~ 2024-12-23(1주차)01. 자기소개안녕하세요! 백엔드 개발자가 되고 싶은 블로거예요.저는 4년제 관련 전공을 배운 후, 좀 더 공부하고 싶어서서울에서 다양한 활동을 해보려고 해요.먼저 제가 가고 싶은 분야는 JAVA & SPRING 의 개발 또는 QA가 되고 싶어요. 하지만 방금 막 졸업한(2025년도 2월 졸업예정자) 저에게 화려한 이력서라든지,엄청난 지식이라던지는 부족하다는 것을 깨닳고그래 이왕이면 취업 난인거를 이용해서 이 기간에 나에 대해 배우고, 나를 어필 할 수 있는 기술을 기르자! 라는 마음으로패스트캠퍼스의 남궁성의 백엔드 부트 캠프에 참여하게 되었어요. 일단 앞서 부트 캠프를 들어가기 전 저의 공부 수치를 간단하게 말씀드..

회고록 2024.12.23

[JAVA] 자료구조 - 연결 리스트(Linked List)

01. 연결 리스트(Linked List)데이터를 링크로 연결하여 관리하는 자료구조자료의 순서 존재, But 메모리 상 연속성 X (배열과 다름)02. 장점과 단점   - 장점데이터 공간을 미리 할당할 필요 X리스트의 길이가 가변적 → 데이터 삭제/추가 용이   - 단점연결 구조를 위한 별도의 데이터 공간 필요연결 정보를 찾는 시간 필요(접근속도가 상대적 느림)데이터 추가/삭제 시 앞 뒤 데이터의 연결을 재구성하는 작업 필요03. 연결 리스트의 기본 구조   (1) 노드 (Node): 데이터 저장 단위, 값/포인터로 구성 (*포인터(Pointer): 다음 노드나 이전 노드의 연결 정보)   (2) 데이터 추가: 데이터 추가 위치(head, 중간, tail)에 따른 연결 작업 필요      - 가장 앞(h..

[JAVA] 기초 - 제네릭(Generic)

01. 제네릭(Generic) 컴파일 시점에 데이터 타입을 미리 지정할 수 있는 기능객체의 타입을 명확히 지정하여, 잘못된 타입의 데이터를 다루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음.제네릭 문법: 보통 **꺾쇠괄호()**를 사용해 타입 매개변수를 정의class 클래스명 { /* 제네릭 클래스 정의 */ }interface 인터페이스명 { /* 제네릭 인터페이스 정의 */ }*T는 Type의 약자로, 보통 관습적으로 사용되며 다른 이름도 가능02. 종류   : 제네릭 클래스, 제네릭 메서드, 그리고 와일드카드(Generic Wildcards)로 나뉨.      (1) 제네릭 클래스: 클래스가 다룰 데이터 타입을 클래스 정의 시점이 아닌 객체 생성 시점에 결정할 수 있음. *정의*class Box { private..

JAVA 기초 2024.12.01

[JAVA] 자료구조 - 배열(Array)

01. 배열(Array)많은 수의 데이터를 다룰 때 사용하는 자료구조각 데이터는 인덱스와 1:1 대응데이터가 메모리상에 연속적 저장 (물리적 연속적)Data'a''b''c''d'...Index0123...02. 장점과 단점장점: 인덱스(Index)를 이용하여 데이터에 빠르게 접근 가능         ex) arr[0] => 'a' , arr[1] => 'b' , arr[2] => 'c', ...단점: 데이터의 추가/삭제 번거로움         - 미리 최대 길이를 정해서 생성         - 가변 길이의 배열은 배열의 크기를 변경할 때마다 새로운 배열 생성         - 데이터 삭제시, 인덱스를 유지하기 위해 빈 공간 유지03. 구현하기 - 구조 익히기import java.util.Arrays;/*..

[JAVA] 자료구조 - 소개

01. 자료구조(Data Structure)란?   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구조 (관리: 저장/삭제/탐색)   목적에 맞게 사용한 자료구조 --> 실행시간 단축 &&  메모리 용량 절감   알고리즘과 밀접한 관계02. 자료구조 분류 선형 자료구조(Linear Data Structures)비선형 자료구조(NonLinear Data Structures)정의데이터가 1:1 관계를 가지며, 순서대로 배치되는 구조데이터 간의 관계가 1:N 또는 N:M과 같은 형태로,계층적이거나 복잡한 구조특징데이터가 선형적으로 연결되어 있음    -> 순차적으로 탐색하거나 접근하기 쉬움데이터간의 연결이 비선형적   -> 탐색 및 처리방식이 더 복잡함예시배열 (Array) , 연결리스트 (Linked List) ,스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