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 2025.01.06 ~ 2025.01.13 (4주 차)
01. 학습 내용
(1) JAVA의 정석 Chap 2 ~ Chap 7까지 문제 풀이
(2) (1) 오답을 강사님께 피드백받은 후, 오답 정리
(3) JAVA의 String class의 자주 사용하는 메서드 정리 && 외우기
(4) Collection 클래스 구조 정리 && 자료구조 간단 정리
(5) 블로그 정리
[CS 상식 - 네트워크] 네트워크 기본 개념
01. 네트워크 의미학문적 의미: 어떤 대상과 다른 대상을 특정한 장치나 규칙으로 연결한 유기적 시스템기술적 관점에서의 네트워크의 대상: 컴퓨터,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나 시스템ex) 인터넷,
beginner-in-coding.tistory.com
[JAVA] 자료구조 - 이진 탐색 트리 (Binary Search Tree)
학습 전: *트리 학습하러 가기*(1)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아래 규칙으로 구성된 이진 트리왼쪽 자식 노드의 키 오른쪽 자식 노드의 키 > 부모 노드의 키각각의 서브 트리도 이진 탐색 트리
beginner-in-coding.tistory.com
[CS 상식 - 네트워크] 네트워크 계층 (1)
01. 네트워크 계층 장점송신측과 수신측의 네트워크나 프로토콜, OS, 애플리케이션은 모두 다름모든 경우의 수를 변화처리 한다면 복찹하고 낭비 발생따라서 계층별로 나눠서 각 계층마다 나누
beginner-in-coding.tistory.com
[CS 상식 - 네트워크] 네트워크 계층 (2)
07.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LAN 내에서 패킷을 교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MAC 주소는 2계층 이하이므로, Application의 IP를 알고 있어도 MAC의 주소를 모름따라서 IP 주소 정보를 네트워크로 보내기 위
beginner-in-coding.tistory.com
[CS 상식 - 네트워크] 라우터 (Router)
01. 라우터기능: IP 주소를 보고 목적지 내부 LAN인지 외부 LAN인지 판단해주고 전달함LAN과 LAN을 연결해주고, 목적지에 전달해줌라우팅: 내부 패킷을 처리하고, 외부 LAN과 연결해서 패킷을 교환하
beginner-in-coding.tistory.com
[CS 상식] 회선 교환 방식, 패킷 교환 방식
01. 회선 교환 방식기존 전화 시스템으로 대표되는 통신 방식통신 상대와 1:1 연결을 설정해 통신하는 방식을 의미연결이 설정되면 해당 회선은 연결된 양 쪽이 독점함교환기 구성이 복잡유지보
beginner-in-coding.tistory.com
[CS 상식 -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01.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무선 LAN에서 허브에 해당하는 장치시리브의 무선 LAN 규격(Wi-Fi)으로 각 단말기와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장치Wi-Fi: 케이블을 배선할 필요가 없고 전송 속도도 빠름광대
beginner-in-coding.tistory.com
[CS 상식 - 네트워크] 허브 (집선 장치)
01. 허브허브: 네트워크의 허브는 각 장치의 회선을 정리하고 네트워크를 올바르게 연결하는 장치허브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모든 장치를 연결해서 통신하는 것허브의 뒷면: LAN 케이블 연결 포
beginner-in-coding.tistory.com
[CS 상식 - 네트워크] 케이블
01. 케이블네트워크에서의 케이블: 이더넷 용 LAN 케이블광섬유 케이블: 고속 전송을 하는 스위치나10Gbps 이상의 네트워크 장비에서 사용\광섬유 코어의 전송 경로 수에 따라 싱글 모드, 멀티 모드
beginner-in-coding.tistory.com
[CS 상식 - 네트워크] 커넥터
01. 커넥터무선을 사용하지 않고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장치와 장치 간의 물리적인 연결을 담장케이블의 연결 부분인 커넥터의 규격이나 형태가 중요02. 광섬유 커넥터, USB 커넥터광섬
beginner-in-coding.tistory.com
[CS 상식 - 네트워크] DHCP
01. DHCPLAN 내 장치에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프로토콜IP 주소 설정을 수동으로 설정하면 효율적이지 않음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를 이용해서 자동으로 할당받음DHCP: 방식과 절차를
beginner-in-coding.tistory.com
[CS 상식 - 네트워크] NAT/NAPT
01.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기업 등에 할당된 글로벌 IP 주소와 각 장치에 설정된 프라이빗 IP 주소의 일대일 대응 전환표 작성특정 프라이빗 IP 주소에서 인터넷으로 액세스 요청 들어오면변환표
beginner-in-coding.tistory.com
[CS 상식 - 네트워크] 라우팅 (Routing)
01. 라우팅(Routing)라우터의 기본 기능: 패킷을 참조해서 자신이 관리하는 LAN으로 들어오는 패킷과 아닌 패킷을 다른 라우터로 전달하는 기능어떤 라우터를 경유해서 패킷이 못적지까지 도달하는
beginner-in-coding.tistory.com
02. 4주 차 학습 스케줄 점검
03. 회고록
이번 주부터 회고록에 일주일간 짠 계획표도 같이 첨부하기로 하였는데, 보이는 곳에 내가 그동안 얼마큼 실천했는지를 보여주는 거다 보니까 더 잘 지키려고 노력했던 것 같습니당. 저는 한 달마다, 일주일마다 계획을 세우고 실천한 지 4년째인데, 그 이전에 계획표 없이 공부했던 것과는 학실히 효율이 다른 것 같아요! 그리고 한 주 계획표를 세우면 그 당일에 내가 뭘 해야 하지 하고 방황하지 않고 머릿속에 어떤 걸 해야지 하며 정리가 되어 있어서 시간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니 다들 한번 해보세여 !! ^ ▽ ^
이번 달에 패스트 캠퍼스 수업 이외에 수강생들과 그룹 스터디도 진행하고 있어요.
그룹 스터디 목표는 네트워크 관련된 교재 한 권을 끝내기로 하고 읽고 있는데, 확실히 같이 하는 공부가 강제성도 생기고 재미도 있어서 좋은 것 같아요. 그리고 공부한 교재의 내용을 중요한 내용만 간추려서 블로그에 정리하니까 더 기억에 남아서, 앞으로도 학습한 내용을 블로그에 정리하는 방법을 자주 이용할 것 같아욥!-!
블로그가 성취감도 있고, 내가 학습했던 내용을 다른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게 정리한다는 것이 장점인 것 같아요. 그냥 노트에다가 정리하면 아무래도 나만 알아볼 수 있는 글씨라던가 문맥으로 정리하게 되는데, 저는 그 노트는 다시 복습 할 때 그 당시에 제가 뭐라고 썼는지 잘 기억이 안 나더라고요..ㅎㅎ.. 그래서 블로그를 앞으로도 정리하고 복습하는데 잘 이용할 것 같아요.
JAVA의 정석 문제를 풀고, 남궁 성 강사님의 피드백을 받으면서 다 안다고 생각했던 부분에서 내가 어느 부분에서 약한 지 알게 되었고, 그 부분을 오답노트로 정리해서 학습해서 앞으로 그런 유형의 문제를 여러 번 풀어 볼 예정입니당.
이번 주에 아쉬운 점은 평일 아침에 잘 못 일어나서 놓친 아침 공부를 주말에 보충하느라 주말에 추가적인 공부를 하지 못한 것이 아쉬운 부분입니당.. 다음 주(5주 차)에는 일정을 좀 더 실천 가능하게 잘 짜서 해 볼 예정이에요!
그리고 이번 주 목표에는 3주 차와 같지만 추가적으로 디자인 패턴 책 1 회독 완료하기입니다!
저도 디자인 패턴을 몇 개 배웠었는데(MVC, Iterator, Singleton, Proxy, Prototype, Observer..) 아무래도 종류가 많다 보니 여러 번 반복적으로 익숙해지고 그다음에 이해, 활용으로 가는 학습 방법이 저는 맞는 것 같더라구요.
그래서 저는 강사님께서 추천해 주신 JAVA 언어로 배우는 디자인 패턴 입문: 쉽게 배우는 GoF의 23가지 디자인 패턴을 빠르게 3 회독까지 하고 블로그에 개념 정리한 후, 활용해 보는 방식으로 공부해 볼 예정이에요!
3주 차도 다들 고생 많으셨고 이번 주차도 다 같이 힘내 봅시당!! ^ ▽ ^
'회고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고록] 패스트캠퍼스 백엔드 부트캠프 3기 (3) | 2025.01.20 |
---|---|
자바 목차 테스트 (1) | 2025.01.15 |
[회고록] 패스트캠퍼스 백엔드 부트캠프 3기 (0) | 2025.01.06 |
[회고록] 패스트캠퍼스 백엔드 부트캠프 3기 (1) | 2024.12.30 |
[회고록] 패스트캠퍼스 백엔드 부트캠프 3기 + 소개 (1) | 2024.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