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25

[CS 상식 - 운영체제] 교착 상태

01. 식사하는 철학자 문제 (Dining Philosophers Problem)교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고전적인 상황교착상태의 상황의 발생 원인과 해결 방안을 설명하는 가상의 문제 시나리오상황: 동그란 원탁에 다섯 명의 철학자와 식사, 포크가 존재순서계속 생각을 하다가 왼쪽 포크가 사용이 가능하면 집어듦계속 생각을 하다가 오른쪽 포크가 사용이 가능하면 집어듦왼쪽과 오른쪽 포크를 모두 집어들면 정해진 시간동안 식사를 진행식사 시간이 끝나면 오른쪽 포크를 내려놓음오른쪽 포크를 내려놓은 뒤 왼쪽 포크를 내려놓음다시 1번부터 반복문제 발생: 모든 철학자가 동시에 포크를 집어 식사를 하는 경우어떤 철학자도 식사를 할 수 없고 영원히 기다려야하는 상황 발생모든 철학자는 다른 철학자가 포크를 내려놓을 때까지 기다..

[CS 상식 - 운영체제] 동기화 기법

01. 뮤텍스 락(Mutex lock; MUTual Exclusion lock)동시 접근해서는 안되는 자원에 동시에 접근하지 않도록 만드는 도구상호 배제를 위한 동기화 도구뮤텍스 락을 통해 현재 자신이 임계 구역에 있음을 알릴 수 있음다른 프로세스가 뮤텍스 락을 통해 임계 구역이 잠겨있다면 기다림임계 구역이 잠겨있지 않으면 진입이 가능함구성자물쇠 역할: 프로세스들이 공유하는 전역변수 lock임계 구역을 잠그는 역할: acquire 함수임계 구역의 잠금을 해제하는 역할: release 함수acquire 함수프로세스가 임계 구역에 진입하기 전에 호출하는 함수임계 구역이 열릴(lock이 false가 될 때 까지)때까지 반복적으로 임계 구역을 확인임계 구역이 열려있다면 구역을 잠그는 역할을 함(lock을 tru..

[CS 상식 - 운영체제] 동기화

01. 동기화(synchronization)의 의미필요한 이유: 실행되는 프로세스들은 실행 순서와 자원의 일관성을 보장해야 하기 때문프로세스의 동기화: 프로세스 사이의 수행 시기를 맞추는 것실행 순서 제어: 프로세스를 올바른 순서대로 실행상호 배제: 동시에 접근해서는 안되는 자원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접근하게 하기실행의 흐름을 갖는 모든 것들이 동기화의 대상(스레드 포함)실행 순서 제어를 위한 동기화한 프로세스의 결과값을 가지고 작업을 하는 경우, 선실행되어야 함상호 배제를 위한 동기화(mutual exclusion)공유가 불가능한 자원의 동시 사용을 피하기 위해 사용하는 알고리즘02. 생산자와 소비자 문제생산자: 물건을 계속해서 생성하는 역할소비자: 물건을 계속해서 소비하는 역할생산자와 소비자는 총합이라..

[머신러닝 & 딥러닝] 기본 용어와 표기법

01. 표기법과 규칙행 (row): 샘플, 인스턴스, 관측열 (column): 특성, 속성, 측정값, 차원클래스 레이블: 타깃, 즉 학습으로 인한 결과 02. 머신러닝과 선형대수학 (liner algebra)머신러닝에서 자주 등장간단하게 표기하고 효율적인 코드로 구현하기에 적합행렬(matrix)와 벡터(vector) 표기로 데이터를 표현행: 샘플열: 특성아래의 엑셀을 행렬로 표현한 것과 같음X의 아래 숫자 의미: 열(특성)의 위치X의 위에 () 숫자 의미: 행(샘플)의 번호 굵은 소문자 x: 벡터(특성) 의미굵은 대문자 X: 행렬(샘플) 의미이탤릭체: 벡터나 행렬에 있는 특정 하나의 원소를 나타낼 때 사용 03. 머신러닝 용어와 동의어훈련 샘플의미: 데이터 셋을 나타내는 테이블의 행샘플이란: 훈련 예시의..

[SQL] 그룹 함수

01. 그룹 함수숫자함수 중 여러 값을 전달하여 하나의 요약 값을 출력하는 다중행 함수수학/통계 함수들 (기술 통계 함수)GROUP BY절에 의해 그룹별 연산 결과를 리턴반드시 한 컬럼만 전달NULL은 무시하고 연산02. 그룹 함수 - COUNT행의 수를 세는 함수대상 컬럼: * | 단 하나의 컬럼만 전달 가능* 사용: 모든 컬럼의 값이 NULL일때만 COUNT 제외문자, 숫자, 날짜 컬럼 모두 전달 가능행의 수를 세는 경우: NOT NULL 컬럼을 찾아 세는 것이 좋음 (PK)문법COUNT(대상 | *) --그룹 함수: COUNT03. 그룹 함수 -  SUM총 합 출력숫자 컬럼만 전달 가능문법SUM(대상) --그룹 함수: SUM04. 그룹 함수 -  AVG평균 출력숫자 컬럼만 전달 가능NULL을 제..

SQL 2025.02.17

[SQL] 집합 연산자

01. 집합 연산자SELECT 문 결과를 하나의 집합으로 간주집합에 대한 합집합(UNION, UNION ALL), 교집합(INTERSECT), 차집합(MINUS) 연산SELECT문과 SELECT문 사이에 집합 연산자 정의두 집합의 컬럼이 동일하게 구성되어야 함각 컬럼의 데이터 타입과 순서 일치 필요전체 집합의 데이터 타입과 컬럼명은 첫 번째 집합에 의해 결정됨02. 합집합두 집합의 총 합(전체) 출력UNION과 UNION ALL 사용 가능UNION중복된 데이터는 한 번만 출력중복된 데이터를 제거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정렬 수행중복된 데이터가 없을 경우: UNION 사용 대신 UNION ALL 사용 권고불필요한 UNION 정렬을 막을 수 있음UNION ALL중복된 데이터도 전체 출력 (정렬 X)SELECT ..

SQL 2025.02.17

[SQL] 서브쿼리

01. 서브쿼리하나의 SQL문안에 포함되어 있는 또 다른 SQL을 의미반드시 괄호로 묶어야함서브쿼리 사용 가능한 곳SELECT, FROM, WHERE, HAVING, ORDER BY, 기타 DML(INSERT, DELETE, UPDATE)GROUP BY 절만 제외하고 가능02. 서브쿼리 종류동작하는 방식에 따라UN-CORRELATED (비연관) 서브쿼리서브쿼리가 메인쿼리 컬럼을 가지고 있지 않은 형태의 서브쿼리사용: 메인쿼리에 서브쿼리가 실행된 결과 값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CORRELATED (연관) 서브쿼리서브쿼리가 메인쿼리 컬럼을 가지고 있는 형태의 서브쿼리사용: (일반적)메인쿼리가 먼저 수행된 후에 서브쿼리에서 조건이 맞는지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위치에 따라스칼라 서브쿼리사용 위치: SELECT절목..

SQL 2025.02.17

[SQL] JOIN (2)

01. 표준 조인ANSI 표준: INNER JOIN, CROSS JOIN, NATURAL JOIN, OUTER JOIN02. INNER JOIN내부 조인: 조인 조건이 일치하는 행만 추출ORACLE의 기본 조인ANSI 표준: FROM절에 [ INNER JOIN | JOIN ]을 명시ANSI 표준: USING이나 ON절을 필수적으로 사용03. ON 절조인할 양 컬럼의 컬럼명이 서로 다르더라도 사용 가능ON 조건의 괄호는 옵션 (생략 가능)컬럼명이 같을 경우: 테이블 이름이나 별칭을 사용하여 명확하게 지정 (테이블 출처 명확히)ON 조건절에서 조인 조건 명시, WHERE 절에서는 일반 조건 명시 (WHERE절과 ON절을 쓰임에 따라 명확히 구분)문법SELECT 테이블1.컬럼명, 테이블2.컬럼명FROM 테이블..

SQL 2025.02.17

[회고록] 패스트캠퍼스 백엔드 부트캠프 3기

기간: 2025.02.10 ~ 2025.02.17 (9주 차)01. 학습 내용(1) 운영체제[CS 상식 - 운영체제] 프로세스와 스레드 (스터디 2)[CS 상식 - 운영체제] 병렬과 병행[CS 상식 - 운영체제] CPU 스케줄링 [CS 상식 - 운영체제] CPU 스케줄링 알고리즘(2) SQL[SQL] 데이터 베이스 용어[SQL] Oracle 기본 계정과 사용자 계정, 권한 부여[SQL] SQL 명령어[SQL] DQL (Data Query Language)[SQL] SQL 함수[SQL] WHERE 절[SQL] GROUP BY 절, HAVING 절[SQL] ORDER BY 절[SQL] JOIN (1)(3) DB 모델링[DB 모델링] 데이터 모델링 이론[DB 모델링] 관계형 데이터 모델 이론(4) Spring..

회고록 2025.02.17

[SQL] JOIN (1)

01. JOIN (조인)여러 테이블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동시 출력 / 참조할 경우 사용FROM절에 조인할 테이블 나열테이블의 순서ORACLE 표준: 테이블 나열 순서 중요 XANSI 표준: OUTER JOIN 시 순서 중요 OORACLE 표준: WHERE 절에서 조인 조건을 작성동일한 열 이름이 여러 개 존재할 경우 → 열 이름 옆에 테이블 이름 | 테이블 Alias를 붙임N개의 테이블을 조인할 경우: 최소 N-1개의 조인 조건이 필요02. 조인 종류조건의 형태에 따라EQUI JOIN (등가 JOIN): JOIN 조건이 동등 조건인 경우NON EQUI JOIN: JOIN 조건이 동등 조건이 아닌 경우조인 결과에 따라INNER JOIN: JOIN 조건에 성립하는 데이터만 출력하는 경우OUTER JOIN: ..

SQL 2025.02.14